분류 전체보기
-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5부동산 2012. 8. 6. 15:48
전국 통행량 증가비보다 승용차 통행량 증가비가 더 높아 한편 전국 통행량은 2016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8705만 1000통행으로, 2010년 당시 집계된 수치인 7886만 8000통행과 비교하였을 떄 약 10.3%가량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통행거리 또한 동일한 기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전국 총 통행거리는 12억 3900만인km로 2010년 기준 12억 2200만인km였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1.38%가량 증가하였습니다. 주목할 점은 해당 기간 동안 전국의 전체 통행량이 증가한 비율은 10.38%에 그쳤지만, 승용차 통행량은 거의 그 두 배에 달하는 20.5%의 상승률을 보이며 4572만 4000대라는 수치를 기록하였다는 것입니다. 어째서 전체 통행량이 증가하는 비율보다도 승용차의 통행..
-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4부동산 2012. 7. 30. 13:05
지역별 출퇴근 통행시간 분석 다음은 통행량 그 자체만큼이나 중요한, 통행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에 대한 분석입니다. 지역별 출/퇴근 통행시간을 일일이 살펴보면, 서울시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출근 시 약 41.8분을 소요하며, 퇴근길에는 54.6분이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도합 96.4분이라는 시간을 출퇴근 과정에 소모하는 것으로 기록되면서 가장 긴 시간을 출퇴근에 할애하는 지역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막대가 노란색으로 표기된 지역은 전국의 평균값보다 해당 값이 더 높은 지역을 의미) 인천시와 경기도 또한 출퇴근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90분을 넘는 지역으로 그 이름을 올렸습니다. 인천시의 경우에는 출근 40.2분, 퇴근 51.8분으로 도합 92분이라는 긴 시간을 출퇴근 과정에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
-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3부동산 2012. 7. 25. 14:54
이하 주요 도시에서의 출근량 데이터 동일한 자료의 분석 결과, 고양시의 뒤를 이어서는 경기도 성남시가 출근 통행량의 일일 평균으로 9만 6515건을 기록하여 12,32%의 비중을 차지, 고양시를 근소한 격차로 바짝 추격하고 있었던 것이 드러났습니다. 그 다음 순위는 7만 8638건을 기록하며 10.04%의 비중을 차지한 부천시로 1,2위와 비교하면 조금 차이가 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요. 이어서 남양주시가 기록한 6만 3523건(약 8.11% 비중), 용인시의 5만 6931건(약 7.27% 비중), 안양시 5만 3388건(6.82%비중) 등이 그 뒤를 따랐습니다. 수도권의 주요 도시들 가운데 광명시(4만 8508건, 6.19%), 수원시(4만 2927건, 5.48%), 의정부시(3만 9404건, ..
-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2부동산 2012. 7. 13. 15:00
서울로의 출근 통행량 1위는 고양시 서울로 출퇴근하는 유동인구의 수가 가장 많은 시는 어디일까요? 당연하다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서울의 베드 타운으로서 성장한 도시들을 그 후보로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남시, 남양주시, 고양시 등이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지요? 굵직한 후보들 사이에서도 실제 조사 결과 고양시가 서울로의 출근 통행량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뒤따르는 것이 예상한 라인업인 성남시, 부천시, 남양주시 등이네요. 이러한 결과는 지난 16일, 국토교통부 및 한국교통연구원 측에서 2016년 3월 7일부터 시작하여 2017년 3월 31일까지의 국가 교통조사 자료를 이용, 전국의 통행량을 분석해 내어 얻은 것입니다. 이번 국가 교통조사 자료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고양..
-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 1부동산 2012. 7. 5. 12:02
부동산 투자, 라는 말을 들으면 최근에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주택만을 연상하게 되는 경향이 강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특히 주택시장에 초점을 맞춘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수 차례 발표되고, 이와 관련된 갑론을박이 매일 뉴스와 신문을 장식하고 있는 세간의 분위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사실 아예 건물이 세워지지 않은 토지 그 자체에 대한 투자나 상점가 등 비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특히 수도권 및 서울의 경우 레드 오션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는 것도 그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일약 침체기를 맞이하여, 상가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유동 인구, 개중에서도 수도권에서 서울로의 출퇴근 통행량을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