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6부동산 2012. 5. 7. 09:48
아파트가의 서열화, 고착화가 연쇄적인 가격 상승 현상 불러왔다 마지막으로, 아파트 매매가가 어느 정도 서열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그것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질서처럼 자리매김해 있다는 점 또한 가격 상승을 불러일으킨 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서울의 모든 아파트 시세는 공개되어 있는 상태로, 부동산 관계자들 사이에선 이렇게 공개되어 있는 아파트 시세를 비슷한 것끼리 묶고 높고 낮음을 서열화해 놓은 나름의 차트가 존재한답니다. (사람들뿐만 아니라 아파트 사이에서도 서열이 존재한다) 따라서 엇비슷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보통인 동일 지역 내에서, 어느 한 특정한 아파트단지의 가격 상승은 곧 인근에 있는 다른 단지의 가격 상승을 불러오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한 지역의 ..
-
규제 시행 이후에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5부동산 2012. 4. 30. 11:28
서울 아파트 기준가격 꾸준히 높아졌다 또한 동일한 시기에 서울 아파트 기준가격 또한 계속 높아지는 형세를 유지했다는 점 역시 주목해야 할 만한 필요성이 있습니다. 시장의 기준가격은 왜 변할까요? 시장 기준가격의 변동은 결국 주변 시세의 변동, 신규 매물의 분양가가 갖는 변동 양상을 따르게 됩니다. 그런데 2015년도부터 시작된 외곽지역의 분양물량 증가 이후에, 작년에는 서울의 재건축아파트 신축 물량 중 일반 물량이 상당히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신규 매물이 시장에 진입하게 된 셈인데요. (유독 많았던 재건축 아파트의 신규 분양) 이러한 매물들의 신규 분양가가 상승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분양가 상승이 결국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치에 대한 재평가로 이어지고, 기존 매물이었던 아파트들 또한..
-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4부동산 2012. 4. 18. 10:44
실수요와 투자 수요 또한 증가했다…… 원인은 높은 전셋값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수요와 투자 수요가 그 둘이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공급이 감소하여 매물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던 때, 실수요와 투자 수요는 모두 증가하고 있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사실 실수요는 본래 큰 변화 없이 꾸준하게 유지되는 영역입니다. 결혼, 취학, 직장이전 등으로 인해 문자 그대로 ‘살 집’이 필요한 사람들의 수요를 일컫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반면 투자수요는 상대적으로 유동적인데, 가격이 오르면 늘고 떨어지면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물건이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가 많아지고, 올라가면 수요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정반대지요. 이것은 주택에 대한 수요가 ..
-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3부동산 2012. 4. 7. 13:53
8.2 부동산 대책 규제안이 매물 부족 불러왔다 작년 하반기를 지배한 매물 부족 현상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요? 모두가 예상하는 것처럼, 문제는 8.2부동산 대책의 규제안들이 예고되면서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서울의 11개구에 아파트를 2채 이상 보유하고 있었던 장기 보유자들의 입장을 생각해 봅시다. 그들은 규제안이 발표되면서 곧바로 시행된 양도세 가산세 탓에, 해당 시점에서 아파트를 매각하는 경우 거의 이윤을 남기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전세 보증금과 양도소득세 중과세를 합하게 되면 거의 집값에 육박할 정도의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인데요. 해당 지역의 다주택자들은 아파트를 내놓고 싶어도 내놓을 수가 없는 상태에 내몰려 발이 묶여 버리고 만 셈입니다. 결과적으로 거래에 대한 강한 ..
-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2부동산 2012. 3. 29. 15:22
대체 왜 침체기에 아파트 값이 상승했는가 어째서 8.2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그에 포함되는 정책이 하나둘씩 현실화되는 시점, 가장 큰 악재가 부동산 시장 전반을 짓누르고 있는 침체의 9개월 동안 아파트 값이 두 번씩이나 크게 뛰었던 것일까요? 이러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매물의 부족’ 입니다. 집값을 결정하는 궁극적인 요인이 무엇일까요? 결국 모든 것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수렴합니다. 나머지 모든 호재와 악재는 단지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는 간접인이지요. 특히 수요와 공급 가운데서 결정적으로 시장의 동향을 흔드는 것은 공급이라는 이야기가 많은데, 이는 수요에 비해 능동적 변동 요인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매물이 시장에 진입하는 신규 공급의 경우에는 보다 장기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