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4부동산 2012. 4. 18. 10:44
실수요와 투자 수요 또한 증가했다…… 원인은 높은 전셋값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수요와 투자 수요가 그 둘이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공급이 감소하여 매물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던 때, 실수요와 투자 수요는 모두 증가하고 있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사실 실수요는 본래 큰 변화 없이 꾸준하게 유지되는 영역입니다. 결혼, 취학, 직장이전 등으로 인해 문자 그대로 ‘살 집’이 필요한 사람들의 수요를 일컫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반면 투자수요는 상대적으로 유동적인데, 가격이 오르면 늘고 떨어지면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물건이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가 많아지고, 올라가면 수요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정반대지요. 이것은 주택에 대한 수요가 ‘투자’수요, 즉 매매 차액을 기대하고 ‘오를 물건’을 사려는 수요이기 때문입니다.
(실수요의 핵심 요인인 결혼과 자녀의 취학. 서울에서는 매해 6만쌍의 신혼부부와 9만명의 신규 취학 아동이 생긴다)
그런데 꾸준하다는 실수요와 유동적이라는 투자 수요가 같이 증가했다는 게 어쩐 영문일까요? 높은 전셋값이 두 수요를 공통적으로 변화시킨 주요 원인으로 손꼽힙니다. 실수요자들의 경우에는 높은 전셋값을 견디지 못하고 차라리 이 참에 ‘내 집 마련’에 나서자는 방향으로, 즉 적극적인 매수자로 돌아서면서 시장 수요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투자 수요 또한 높은 전셋값 비율에 자극을 받아,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수하는 형태의 소위 말하는 이른바 ‘갭 투자’등이 각광받으면서 팽창하게 되었던 것이지요.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5 에서 계속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6 (0) 2012.05.07 규제 시행 이후에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5 (0) 2012.04.30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3 (0) 2012.04.07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 -2 (0) 2012.03.29 규제 시행 이후에 서울 아파트값 올랐다, 이유는?-1 (0) 2012.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