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정치료의 부작용에는 무엇이 있을까?
    치아 건강글 2020. 6. 3. 14:29

     

    교정 치료는 어느 치과, 어느 의사에게 받든지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작용마다 그 원인이 밝혀진 부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도 원인이 밝혀진 부분에 한해서는 의사와 환자의 노력으로

    교정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겠죠? 

     

     

    ▷ 치아표면 탈회와 충치


    치아 표면이 하얗게 부식되는 것을 탈회라고 합니다.
    당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산성이 높은 음식물을 자주 섭취하고,
    칫솔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누구나 탈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정 장치를 장착한 환자들의 경우에는

    칫솔질을 게을리했을 시 탈회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치아 표면의 탈회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탈회가 심하지 않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심한 경우에는 심미성이 떨어지고, 충치로 전이될 수 있어

    충치 치료와 동일한 치료를 받아야만 합니다.
    따라서 교정 치료 중에는 칫솔질을 철저히 하고, 단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 잇몸 염증


    교정 장치를 장착한 후 칫솔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잇몸이 부어 오르고, 피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잇몸 염증에 의해 나타나는데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치수의 괴사


    교정 치료와는 별개로 치아의 신경이 죽는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치아 손상이나 깊은 충치의 충전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교정을 받기 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교정 치료를 받으며 치아가 이동하면서 증상이 발현되는 것이죠. 
    이때는 치아 보존을 위해 신경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치근의 흡수


    교정 치료 중에는 치아의 뿌리인 치근이 뼈 속으로 

    이동하면서 흡수되어 짧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은 흡수의 정도가 경미합니다.

    따라서 치아의 기능적인 부분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치근의 흡수는 개인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이 외에 치근 흡수의 원인으로는

    손상과 치아 파절, 치아 매복, 내분비 이상 등이 있고,

    간혹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일 치근이 심하게 흡수된 경우라면

    교정 치료를 멈추고 신경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겠습니다. 


    ▷ 악관절 장애


    악관절 장애는 교정 치료 전, 치료 중, 치료 후

    모든 상황에서 발생활 수 있습니다.
    악관절의 손상이 이미 교정 치료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으나
    발견되지 않고 있다가 교정 치료로 치아가 이동하면서

    명확하게 드러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악관절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