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6부동산 2012. 8. 17. 18:12
승용차 통행량의 증가가 주요 도시 혼잡구간 비율 증가 불러와
이렇게 통행량의 증가, 특히 승용차를 이용한 통행량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가져오게 될 결과는 무엇일까요? 교통 체증, 교통 혼잡, 그런 단어들이 머릿속에 떠오르셨다면 정답을 맞추신 겁니다. 실제로 승용차 통행량 증가로 인한 혼잡현황을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도로등급별 연도별 혼잡구간 비율은 고속도로는 2014년 대비 약 3.4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 국도의 경우에는 오히려 조금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방 도 및 시군도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7대 특별시 및 광역시를 살펴보면,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등에서는 지속적으로 혼잡구간이 증가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특히 그 중에서도 서울시의 혼잡구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교적 승용차의 보급률이 높았던 서울시에서도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2년동안 승용차 등록대수가 8만 7602대 증가하면서 3.7%의 증가율을 보였고, 인천시의 경우 18만 753대가 늘어나 21.2%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습니다. 비슷한 시기 동안 경기도에서는 승용차 등록 대수가 43만 4776대나 증가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승용차가 많이 증가한 지역으로 손꼽히게 되었는데요. 수도권 전역이 일관적으로 통행량의 증가(유동인구의 증가), 승용차 대수의 증가, 그 결과로 인한 교통 혼잡성의 증대, 긴 출퇴근 시간을 보이게 된 셈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놓고 어떻게 활용할지는 개개인의 안목에 달려 있겠지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5 (0) 2012.08.06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4 (0) 2012.07.30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3 (0) 2012.07.25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2 (0) 2012.07.13 경기-서울 출퇴근 통행량 유동인구 분석 - 1 (0) 2012.07.05